투자와 인플레이션의 관계
/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요약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내가 가지고 있는 돈으로 구입할 수 있는 현금 구매력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투자자라면 물가 상승에 대비해야만 한다. 물가가 상승하면 주식도 영향을 받지만, 채권보다는 유리한 면이 있다. 인플레이션을 효과적으로 방어한다고 알려져 있는 금이나 부동산보다 주식이 유리할 수 있다. 주식에 투자하면 물가가 상승해 현금 구매력이 떨어지더라도 투자한 기업의 배당금 증가나 주가 상승으로 물가 상승분을 상쇄할 수 있다.
벤저민 그레이엄은 현명한 투자자를 집필하면서 투자와 인플레이션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책을 집필하던 시기가 1970년대 초반이었다는 점을 염두하고 읽어보길 바란다.
투자전략을 수립할 때 과거의 경험을 반추하는 것이 좋다. 인플레이션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항상 있어왔던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미국을 기준으로 1915~1920년 기간 생활비는 2배가 증가했다. 한편 1965~1970년에는 물가가 15% 증가했다. 그 사이에 물가 하락은 3번, 큰 폭의 물가 상승은 6번 있었다. 1972년 이전 20년간 인플레이션은 연간 2.5%였다.
주식투자로 연평균 4%의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면, 인플레이션을 상쇄하고도 수익을 남길 수 있었다. 실제로 1915~1970년 동안 다우지수 상승률은 연간 4%에 배당 4%를 더하면 총 수익률은 연간 8%였다. 같은 기간 채권에 투자했을 때 나온 수익률보다 높았다.
이렇게 과거의 사례를 분석하면 주식투자가 인플레이션을 상쇄하는 수익을 남길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도 그럴까? 미래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렇다고 확언할 수 없다. 판단은 각자의 몫이다.
인플레이션을 헤지(회피)하는 다른 투자수단은 없을까?
미국은 1935년부터 1974년까지 미국인의 금 보유를 법적으로 금지했었다. 1972년 이전까지 35년간 금 가격은 온스당 35달러에서 48달러로 상승했지만, 금에 투자해서는 소득은커녕 보관비용만 발생해서 예금보다도 못했다.
미술품, 보석 등은 어떨까? 물론 미술품이나 보석 등에 투자해서 큰 돈을 번 사람들은 있다. 하지만 이 분야는 아마추어가 함부로 뛰어들 시장이 아니다. 부동산의 경우에는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기 좋지만 가격 등락이 매우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결론은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한 바구니에 모든 자금을 담아서는 안 된다. 특히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계를 해결하려는 사람은 뜻밖의 상황에 대비하고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 주식투자로 인플레이션을 완벽하게 방어한다고 말할 수 없지만, 그래도 채권보다는 유리하다. 모든 재산을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위험하다. - 벤저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
'꿈달의 자산관리 공부(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50년 대한민국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한국국토정보공사(LX) <대한민국 2050 미래 항해 보고서> 요약 (14) | 2021.12.01 |
---|---|
투자자가 시장변동을 대하는 자세(투기꾼과 투자자의 차이) / 벤저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 핵심 요약 (8) | 2021.11.18 |
공격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전략,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핵심 요약 (1) | 2021.11.12 |
방어투자자의 4가지 주식투자 원칙, 벤저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 요약 (10) | 2021.11.05 |
벤저민 그레이엄 현명한 투자자, 방어투자자가 기대할 수 있는 투자 성과 (6) | 2021.11.01 |
벤저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 / 투자와 투기 (3) | 2021.10.21 |
보유한 주식의 모니터링을 통한 효과적인 관리 / 매수, 매도 타이밍 잡기 (9) | 2021.09.17 |
주식의 종류별(테마, 특성) 투자방법과 절절한 투자기간 (6) | 2021.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