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트럼프 취임 첫날, 뭐부터 바뀌나?

꿈달(caucasus) 2025. 1. 21.
728x90
반응형

지난 20일(이하 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워싱턴DC에서 개최된 마가(MAGA,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축하 집회에서 취임 후 빠른 움직임에 대한 각오를 밝혔다. “내일이면 여러분을 행복하게 할 아주 많은 행정명령을 보게 될 것”이라며 변화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성경에 손을 얹지 않은 채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날부터 큰 변화를 예고했다. 공약에 따라 국가 국경 비상사태를 선포해 남부 국경을 온전히 보호하고, 불법 이민자를 대상으로 국경을 완전히 폐쇄할 예정이다. 또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해 해상 풍력 발전 임대를 중단하고, 전기차 장려를 위한 배기가스 규제 등 에너지 관련 규제 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트럼프는 취임 수 시간 내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정책들을 폐기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을 폐기하고 정부뿐 아니라 민간 영역에서도 실력에 따라 평가받도록 바꾸겠다고 밝혔다. 정부효율부(DOGE)를 신설해 관료주의와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없애겠다고도 공언했다.

 

 

 

 

트럼프 효과를 제대로 누린 가상 화폐

 

가상화폐에 친화적인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이 코앞으로 다가오자,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는 그야말로 트럼프 효과를 누렸다. 지난 19일(현지 시각), 시총 1위를 달리고 있는 비트코인은 10만 9천 달러를 넘어섰고, 그 뒤를 잇는 이더리움도 장 중 한때 3,400달러를 돌파했다.

 

 

 

한편, 트럼프 취임을 앞두고 지난 17일 출시된 밈코인 ‘오피셜 트럼프’의 가격도 폭등했다. 해당 코인은 하루 만에 53.67달러까지 올랐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 가상화폐 시장에 친화적인 정책을 시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투자자가 몰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 밈코인

밈(meme)에 영감을 받아 탄생한 암호화폐로, 유행에 따라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가상화폐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도지코인, 시바이누, 페페코인 등이 있다. 투기의 성격을 띠는 밈코인은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도 전에 틱톡의 운명을 바꿔놓기도 했다.

 

틱톡 금지법 시행에 따라 미국에서 영원히 사라질 줄만 알았던 틱톡이 하루도 지나지 않아서 서비스를 재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나는 취임일에 행정명령을 발동해 틱톡 금지법의 금지 조항이 발효되기까지의 기간을 연장할 것”이라는 한 마디가 틱톡의 미국 서비스를 연장시킨 것이다.

 

# 틱톡 금지법

틱톡의 중국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2025년 1월 19일 미국에서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법이다. 이 법안은 국가 안보 우려, 개인 정보 보호 문제, 그리고 중국 정부의 데이터 접근 가능성 등을 이유로 제안됐다.

 

 

 

트럼프, 임기 첫날부터 100여개의 행정명령 서명

 

대선 때부터 기후 위기를 부정해 온 트럼프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화석 연료 추가 생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든 행정부 때 시행된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180도 뒤집어, 미국 내 석유와 천연가스 시추로 해외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의 자원으로 자급자족을 이룰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시절부터 종전을 기약해 온 바 있다. 취임 후 24시간 이내에 종전을 약속했다가, 이후 6개월 이내에 이루겠다고 말을 바꿨다.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를 압박하기 위해 석유 산업에 대한 제재도 검토 중인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러·우전쟁의 조기 종식에도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무엇보다 미국우선주의를 표방하며 보호무역주의를 앞세운 트럼프 대통령은 폭탄 관세 공약으로 세상을 발칵 뒤집었다. 수입품에 대한 기본 10~20%의 관세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엔 25%의 수입 관세, 중국산 제품엔 최대 60%의 관세를 붙일 예정이다. 미국우선주의가 거세지면 달러 강세, 인플레이션, 미국 상품의 해외 판매 감소와 같은 부작용도 우려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