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국5 미국 고용시장의 호황, 연준은 당황스럽다. 더 금리를 올려야 하는것일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고용시장의 둔화를 기대했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미국 고용 지표는 그 반대... 연준은 고용 지표, 특히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를 보고 긴축 정도를 결정하는데, 예상보다 너무 좋게 나온 고용 지표에 긴축 중단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꺾였다. 미국 고용시장의 고용지표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고용시장이 너무 뜨거우면 임금 상승 압력이 커져 물가를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연준은 금리 인상을 통해 고용시장의 둔화를 유도하고, 물가를 잡고자 했다. 고용지표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비농업 고용 지표다. 농업 종사자, 가사 노동자, 비영리 단체 직원 등 일부 직업군을 제외한 미국의 일자리 수를 보여주는데, 전체 일자리의 약 80%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연준은 그..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2. 28. 12 미국 연준 FOMC 위원 4명 교체, 과연 올해 FOMC의 금리 정책은 어떨까? 2023년 미국 증시 첫 거래일, 성적은 실망... 어제 2023년 미국의 증시 첫 거래일이 시작되었지요. 하지만 첫 거래일 성적은 좋지 못합니다. 테슬라의 경우 13% 폭락했고, 애플도 2% 정도 빠지면서 2023년 첫 증시 출발은 저조한 성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올 한해는 과연 어떤 증시가 펼쳐질는지 궁금하네요. 😥 요근래 증시에는 우울한 소식들만 들려왔었습니다. 미국을 비롯해 전세계가 경기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경고가 계속되고 있고, 미 연준은 금리 인상 기조를 당분간 지속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끝날줄 모르고 있구요. 여기저기 악재가 산재해 있습니다. 😉 이 와중에 그나마 좀 기분 좋은 소식이 들여왔는데요. 바로 미 연준의 FOMC 위원 교체 소식입니다. 올해 교체된 4명..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1. 4. 2 미국 2022년 국가안보전략 최초 공개, 바이든 정부의 현주소! 바이든 행정부의 향후 국정 청사진을 공개하다 미국은 1980년대 이후 정기적으로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 NSS)을 발표합니다. 지난 10월 13일 바이든 정부의 첫 국가안보전략이 공개됐습니다. 보고서의 주요 골자는 ① 중국, 러시아 등과 대결 ② 기후변화, 에너지 부족 ③ 인플레이션 이렇게 세가지를 미국에 대한 전략적 위협으로 규정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보고서에서는 각종 산업에 대한 미국 내 투자에도 초점을 맞췄습니다. 보고서는 “경쟁자를 능가하고 공통 도전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핵심적인 국내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개선해야 한다”라면서 대표적인 이행 방안으로 “반도체와 과학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언급했습니다. * 반도체와 과학법: 반도체 생산 라인에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2. 12. 6. 8 다양성의 나라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소수인종 우대 정책 부활의 의미 다양성의 나라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소수인종 우대 정책 부활의 의미 최근 미국에서 아시아계 인종의 혐오범죄 발생이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등장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팬데믹이 장기화되자 금번 사태의 원인을 중국으로 생각하는 몰지각한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지요.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을 중국인으로 착각하고 마구잡이로 폭행하는 범죄가 늘어고 있어서 심각하게 우려가 됩니다. 게다가 지난 트럼프 대통령은 소수 인종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기 때문에, 지금의 인종차별 혐오범죄에 일조한 책임도 피할 수 없고요. 이런 뉴스를 접할때마다 우리 민족이 범죄의 대상이 된다는 사실에 분노를 금할 수 없습니다. 한편으로는 백인보다 흑인들이 이런 범죄를 일으키는 뉴스를 볼때면 더욱더 의아하기도 하고요..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1. 4. 15. 18 미국 1등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핵심자산 투자처로 미국이 중요한 4가지 이유) 미국 1등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핵심자산 투자처로 미국이 중요한 4가지 이유) 오늘 새벽 미국과 유럽의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다. 불과 하루전만 해도 미국과 유럽의 증시는 10% 넘게 급락했으나 각국의 경기 부양책 기대에 힘입어 10% 넘게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특히 미국의 주요 증시 지수는 평균 10% 정도 급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그래도 2월초 최고 정점을 찍었던 때와 비교해보면 지금 엄청나게 주가가 급락한 것이다. 미국의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 역시 주가가 급락했다. 하지만 지금 전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대부분의 초일류 기업은 거의 다 미국산업에서 1등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경기 호황을 누려오며 증시 역시 계속 성장해왔다. 미국은 그동안 많은 경제 위기를 겪..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2020. 3. 14. 10 이전 1 다음 💲 추천 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