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코로나5 2020년 코로나 금융위기(주식시장 대폭락)에서 배운 7가지 교훈 2020년 코로나 금융위기(주식시장 대폭락)에서 배운 7가지 교훈 근현대에 이르러 세계 금융시장은 크게 세 번의 위기를 겪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이 주제를 다뤘었는데요. 1929년에 발생한 미국 경제 대공황, 그리고 2008년 미국 금융위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난해 발생했던 코로나 팬데믹 금융위기 입니다. 세 가지 금융 위기는 발생의 원인, 주가 폭락의 기간이 각각 다른데요. 특히 지난해 발생한 코로나 팬데믹 주가 대폭락은 아주 짧은 기간동안(약1개월) 이루어진 것이 특징입니다. 세 가지 금융위기와 관련한 이야기를 다음글을 참고하세요~ ☞2021.08.10 - 금융위기를 이길 수 있는 주식투자전략, 필립 피셔의 좋은 기업 고르는 방법 ☞2021.08.11 - 금융위기를 이기는 투자전략, 켄 피셔의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1. 8. 17. 빅데이터를 통해 알아보는 코로나 사태 이후 뉴노멀 시대 빅데이터를 통해 알아보는 코로나 사태 이후 뉴노멀 시대 최근 3개월간 코로나 사태로 인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는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앞으로의 세계는 코로나 사태가 발생하기 전과 후로 나뉠 것 이라고 이야기 한다. 이를 풍자한 BC(Before COVID-19), AC(After COVID-19) 라는 표현도 새롭게 등장했다. 우리나라는 정부의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방역 활동 참여로 코로나 사태가 진정세에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다른 외국에서는 아직도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어느덧 5월이다. 코로나 사태가 본격적으로 확산된기 시작한지 고작 3개월여... 이 3개월 동안 우리들의 삶에는 엄청난 변화가 찾아왔다...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0. 5. 8. 코로나 백신 개발 현황, 코로나19 연내 종식 가능할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세계 확진자가 엄청나게 확산하였다. 지금까지 전세계 확진자 수는 4월 2일 기준 현재 932,605명 사망자는 46,809명에 달하고 있다. 정말 엄청난 피해다. 1월 초 중국 우한에서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불과 3개월여만에 지구촌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다. 이미 알려진대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다만 기존에 개발된 HIV, 말라리아, 신종플루 등의 치료제를 이용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치료하기 위한 신약을 개발하는데 글로벌 제약사들이 경주하고 있다. 만약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는데 성공한다면 인류에게는 축복이고, 개발기업에게도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코로나19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0. 4. 2. 코로나가 바꾼 일상,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코로나가 바꾼 일상,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지금까지 살아오며 전염병이 이렇게 무서운 줄은 몰랐다. 2020년 1월초 중국 후베이성의 우한 지역에서 발생한 신종 바이러스로 많은 중국인이 감염되며 사망자가 속출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바이러스 발병 초기에 안일하게 대처하다가 사태가 심상치 않아지자, 결국 우한시를 봉쇄하였다. 이때까지 나는 중국의 코로나 창궐 소식을 접하며 중국에서만 유행하는 심한 독감이겠거니 했다. 하지만 불과 며칠이 지나지 않아 1월 19일 우리나라에 입국한 중국인 여성이 최초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 후로 두달이 넘은 지금 3월 23일. 우리나라 국민의 코로나19 확진자는 22일 기준으로 8,897명에 달하고 있다. 22일 기준 전세계 확진자의 수는 307,287명이다. 2003..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0. 3. 23. 미국 1등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핵심자산 투자처로 미국이 중요한 4가지 이유) 미국 1등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핵심자산 투자처로 미국이 중요한 4가지 이유) 오늘 새벽 미국과 유럽의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다. 불과 하루전만 해도 미국과 유럽의 증시는 10% 넘게 급락했으나 각국의 경기 부양책 기대에 힘입어 10% 넘게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특히 미국의 주요 증시 지수는 평균 10% 정도 급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그래도 2월초 최고 정점을 찍었던 때와 비교해보면 지금 엄청나게 주가가 급락한 것이다. 미국의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 역시 주가가 급락했다. 하지만 지금 전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대부분의 초일류 기업은 거의 다 미국산업에서 1등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경기 호황을 누려오며 증시 역시 계속 성장해왔다. 미국은 그동안 많은 경제 위기를 겪..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2020. 3. 14. 이전 1 다음 💲 추천 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