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 시각) 미국의 글로벌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향후 4년간 5천억 달러(약 720조 원)를 투자해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내용이다.
‘스타게이트’는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AI 인프라 투자를 위해 설립하는 초대형 AI 합작 기업의 이름이다. 5천억 달러를 투자하는 측이 바로 이 합작 기업 스타게이트다. 이 프로젝트에 미국 정부의 자금은 단 1센트도 들어가지 않는다. AI 역사의 판을 뒤집을 프로젝트로 불리는 스타게이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진행된다. 해당 법인은 텍사스주를 시작으로 연구소, 데이터센터, 전력 설비 등을 포함한 AI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긴급 명령을 통해 이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스타게이트는 차세대 AI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될 물리적·가상적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할 계획이다.
트럼프는 이번 투자로 AI 시대 주도권을 확실하게 미국으로 가져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AI 개발의 발목을 잡는 규제를 철폐해 중국을 따돌리고 선두 자리를 차지하도록 하겠다”라고 언급했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Arm이 기술 파트너로 참여한다. MS는 애저(Azure)로 대표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Arm은 프로세서 설계라는 핵심 기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위해 힘을 모을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일등 수혜 기업으로 꼽히는 건 바로 엔비디아. 오라클이 엔비디아 AI 반도체만을 사용하는 데다가, 2027년 오픈AI의 자체 주문형 반도체가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르면 올해 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엔비디아 AI 반도체 수요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한편, 국내 기업 역시 간접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엔비디아가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공급하는 GPU와 CPU에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부품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xAI 등의 빅테크 기업에 전력 설비를 공급 중인 LS일렉트릭 역시 AI 산업 성장의 수혜 기업으로 주목받는다.
최근 프랑스 정부도 인공지능(AI)에 160조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AI 정상회의를 하루 앞둔 지난 9일(현지시간) TF1 방송사와 인터뷰에서 프랑스가 “아랍에미리트, 주요 미국, 캐나다 투자펀드, 프랑스 기업으로부터 향후 몇 년간 인공지능에 1090억 유로(약 160조 원)의 투자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1090억 유로라는 수치는 생성형 AI를 주도하는 챗GPT를 만든 오픈AI와 미국 정부 주도의 투자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와 동등한 수준이라고 마크롱 대통령은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의 최측근 실세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에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 “소프트뱅크는 100억 달러도 갖고 있지 않다”라며 참여사의 자금 부족 문제를 지적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머스크의 이번 비판이 올트먼에 대한 오랜 악감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주장한다. 머스크는 오픈AI에 초기 투자자로 참여했으나, 사업 방향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오픈AI에서 손을 뗐다고 알려졌는데, 이후 머스크는 오픈AI에 소송을 제기하는 등 불편한 감정을 행동으로 표출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머스크의 지적에 일리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프트뱅크나 오라클이 보유한 현금은 각각 300억 달러, 110억 달러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머스크의 비판에 백악관은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았지만, 트럼프가 긍정적으로 반응하지 않을 거란 예측도 나옵니다. 미국 언론 액시오스는 머스크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깎아내리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분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의 최신 AI 모델 그록3, 성능 얼마나 뛰어난가? (1) | 2025.02.20 |
---|---|
빅테크 메타, MS, 테슬라, 애플 2024년 4분기 실적 복기 (1) | 2025.02.14 |
엔비디아가 그리는 빅픽처, CES2025 젠슨 황 기조연설 핵심 요약 (1) | 2025.02.03 |
CES 2025 엔비디아 이슈 복기, 엔비디아 주가 급락 이유는? (2) | 2025.01.22 |
2024년 개인투자자들의 엔비디아 투자 성적은? (3) | 2025.01.14 |
2025년 미국 주식 전망, 미국 소형주에 주목하라. (31) | 2024.12.16 |
미국 법무부의 구글 크롬 매각 요청! 실현 가능성 있나? (20) | 2024.11.26 |
미국 증시를 뒤흔든 회계 조작 이슈, 슈마컴 스캔들 (5) | 2024.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