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2024년 개인투자자들의 엔비디아 투자 성적은?

꿈달(caucasus) 2025. 1. 14.
728x90

2024년 엔비디아 개인투자자들의 성적은? A+

 

지난 12월 25일(현지 시간),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인공지능(AI) 칩 대장주로 꼽히는 엔비디아가 2024년 개인투자자가 순매수한 1위 주식에 오를 것이라고 전했다. 2024년 개인투자자들이 매수한 엔비디아 주식은 300억 달러 규모로, 약 43조 7천억 원에 이른다.

 

 

 

 

 

 

 

이처럼 엔비디아는 시가총액도 급등했는데, 지난해 말 50달러에 머무르던 주가가 한때 150달러에 육박하면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와 시가총액 1위를 두고 다툴 정도로 성장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인텔을 대신해 우량주 그룹 다우지수에 공식 편입되기도 했다.

 

 

 

2023년 개인투자자에게 가장 사랑받은 종목인 테슬라는 2024년에는 개인 투자자 매수액이 147억 달러(약 21조 4,000억 원)에 그치며 엔비디아에게 1위를 넘겨줬다. 전기차 수요 둔화로 관련 업계가 침체한 영향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놀라운 2024년 매출 실적

 

개인투자자들이 엔비디아 주식을 대량 매수한 이유는 바로 엔비디아의 놀라운 실적 때문이다. 지난해 3분기, 엔비디아는 350억 8,000만 달러(한화 49조 1,190억 원)의 매출과 0.81달러(1,134원)의 주당순이익(EPS)을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매출은 94%, 주당순이익은 102.5% 급증한 것이다. 1년 새 실적이 2배로 불어난 것이다.

 

 

# 주당순이익 / EPS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 한 기업이 일정 기간 창출한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수치다. 기업의 실질적인 수익성을 가늠하기 위해 활용하는 지표로, 보통 EPS가 높을수록 투자 가치가 높다. EPS가 늘고 있는 기업은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라고도 볼 수 있다.

 

 

 

지난해 3분기 엔비디아의 AI 칩을 포함한 데이터 센터 부문 매출은 308억 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다. 엔비디아의 GPU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생성형 AI 기술 개발에 있어 대체 불가능한 핵심 요소다. 엔비디아는 이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이 90% 에 달한다.

 

 

# 그래픽처리장치 /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컴퓨터에서 그래픽 연산을 처리해 결괏값을 모니터에 출력하는 연산 장치. 수많은 단순 계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많은 연산이 필요한 AI 학습에 널리 활용된다.

 

 

 

엔비디아의 신제품 블랙웰에 대한 기대감도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블랙웰은 기존 제품인 H100보다 AI 학습 속도가 최대 4배, 추론 속도가 30배나 빨라졌는데, 엔비디아는 4분기부터 블랙웰을 예정대로 생산해 내년에는 공급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년에도 엔비디아는 고성장?

 

2025년에도 엔비디아 주가가 강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 24일(현지 시각),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내년 최우선주로 엔비디아를 선정했다. 블랙웰 출시와 AI 투자 지속이 상반기 주가 상승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역시 지난 20일(현지 시간) 엔비디아를 2025년 최고 추천 종목(Top pick)으로 선정했다. 또,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확대'로 유지했다. 올해 엔비디아 주가가 185% 이상 급등한 점을 근거로 내년 목표 주가를 166달러로 설정하며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것이다.

 

 

 

TSMC와의 협력을 두고도 기대를 모은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대만에 미국 실리콘밸리 본사와 맞먹는 규모의 대형 연구개발(R&D)·디자인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대만은 최첨단 공정으로 최신 AI 반도체를 양산하는 세계 1위의 파운드리 기업 TSMC가 있는 곳이다. 이번 투자로 TSMC 등 대만 반도체 생태계와 협력을 강화하면서, 설계와 제조가 분리돼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