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3대 신탁인 노던트러스트가 <2025 글로벌 투자 전망/Global Investment Outlook>을 발간했다. 2025년도 주식 시장은 미국 소형주, 미국 대형주, 신흥시장주, 선진시장주 순으로 상승 여력이 크다고 진단했다.
미국 대형주(U.S. Large Cap)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매그니피센트 7을 포함한 큰 주식을 가리킨다.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메타, 테슬라가 대표적이다. 미국 대형주는 올해 들어 10월까지 약 21% 상승했다. 작년에도 23% 올랐으니, 매우 큰 성과인 셈이다. 때문에 오늘날 주가수익비율(P/E)이 27에 달한다. 장기 평균인 21보다 높아서, 시장에서는 “고평가되었다”고 보고 있다.
# 주가수익비율(P/E)
한국에서는 PER(Price Earnings Ratio)로 쓰지만, 일반적으로 P/E로 쓴다. 즉 가격(Price) 나누기 이익(Earning)인데,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누면 된다. 쉽게 말해서 P/E가 27이라고 한다면, 주식 가치(시총)가 회사가 벌어들인 돈(순이익) 보다 27배 높다는 뜻이다.
투자자들은 매그니피센트 7과 같은 대형 기업들이 향후 2년간 매년 6% 매출을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이익을 2년간 14%, 13%씩 추가 창출할 것으로 전망한다. 때문에 장기 평균 P/E를 고려해 본다면, 상승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1990년대 후반에 벌어진 닷컴버블과는 다르다고 평가했다. 이들 기업은 이익, 성장, 수익률, 자본 지출, 잉여 현금 흐른면에서 그 때와는 체질이 다르다는 것이다.
# 닷컴버블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으로 1995년~2000년 발생한 광적인 투기 투매 현상을 가리킨다. 나스닥은 2000년 3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943일간 고점대비 78% 폭락했다.
반면 미국 소형주(U.S. Small Cap)는 올 들어 10% 상승에 그쳤다. 또 2023년에는 16% 상승을 했는데, 소형주 기업들은 부채 가운데 절반 이상이 변동 금리 기준이다. 금리가 떨어지면, 이익이 개선될 것이고, 트럼프 정부 들어 리쇼어링 정책을 펼치면, 소형주 기업의 이익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대형주 대비 가격이 더 합리적이라는 점에서 투자 매력도가 높다는 것이 노던트러스트의 분석이다. 미국 대형주는 이미 높은 밸류에이션을 평가받고 있는 반면, 소형주는 아직도 낮은 벨류에이션을 평가받고 있어 내년에는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비디아가 그리는 빅픽처, CES2025 젠슨 황 기조연설 핵심 요약 (1) | 2025.02.03 |
---|---|
CES 2025 엔비디아 이슈 복기, 엔비디아 주가 급락 이유는? (2) | 2025.01.22 |
2024년 개인투자자들의 엔비디아 투자 성적은? (3) | 2025.01.14 |
미국 법무부의 구글 크롬 매각 요청! 실현 가능성 있나? (20) | 2024.11.26 |
미국 증시를 뒤흔든 회계 조작 이슈, 슈마컴 스캔들 (5) | 2024.11.15 |
돌아온 트럼프노믹스 2.0 산업별 전망은 어떨까? (6) | 2024.11.11 |
테슬라, 3분기 실적 발표로 보는 성장 가능성 (3) | 2024.11.05 |
엔비디아와 TSMC의 블랙웰 양산 갈등, 누가 더 불리할까? (4) | 2024.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