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연일 오르는 물가와 슈링크플레이션(Feat. 스킴플레이션, 번들플레이션)

꿈달(caucasus) 2023. 12. 6.
728x90

지난해부터 시작된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과 코로나 사태 이후 후유증으로 아직까지 물가가 쉽사리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은 둔화되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 물가 상승이 잡히지는 않았지요. 이 와중에 일부 생필품 업체들은 제품 용량이나 품질을 낮추는 꼼수 가격 인상, 즉 슈링크플레이션이 등장하여 서민들의 한숨이 늘어만 갑니다. 오늘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란 제품 가격은 유지하는 대신 제품의 크기나 중량, 수량 등을 줄이는 것을 말합니다. 소비자들은 그전과 동일한 소비를 위해서는 그만큼 더 많은 돈을 지출해야 하니 결국은 가격이 오른 것과 다름없게 됩니다. 항상 물가 상승기에는 이런 업체들의 꼼수인 슈링크플레이션이 등장하기 마련입니다. 😒

 

 

 

 

그래서 소비자를 기만하는 것과 다름없는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도 이러한 여론을 감안하여 슈링크플레이션 실태 파악에 나섰습니다. 이달 말까지 한국 소비자원과 주요 생필품 가격 실태조사를 추진하는데, 신고센터를 신설하고 관련 사례도 제보받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결국 급격한 물가 상승과 관련이 있는데요. 물가가 둔화할 것이라는 정부의 예상과 달리,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13.37로 전년 대비 3.8% 올랐습니다. 오히려 8월(3.4%), 9월(3.7%)에 비해 상승률이 높아졌는데, 미국 물가상승률(3.2%)마저 추월하자 정부가 화들짝 놀란 모양입니다.

 

#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

>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물가 추이를 보여주는 지표. 실생활과 가장 밀접하며, 일상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가장 중요한 물가지수.

 

 

 

우선 정부는 주요 품목별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물가를 집중 관리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물가 정책이 해당 품목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관리하면서 부당한 가격 인상을 막겠다는 의도입니다.

 

 

이러한 조처는 2012년 시행된 물가관리 책임실명제를 연상시킵니다. 이 당시 정부가 52개 생활필수품의 물가를 집중 관리하면서 4.2%에 달했던 CPI 상승률을 4개월 만에 2.6%로 안정시켰습니다. 정책이 실효를 거두는 듯 했지만 이후 3년 5개월간 해당 품목의 평균 가격상승률이 20.42%로 전체 CPI 상승률(13.21%)을 크게 웃돌면서 결국은 실패한 정책이 되고 말았지요.

 

 

이러한 정부의 기조에 일부 기업들이 정부 압박을 피해 꼼수 가격 인상에 나서는 등 부작용은 시작됐습니다. 바로 슈링크플레이션이 등장한 것이지요. 농심은 양파링, 오징어집 등 과자 중량을 줄였고, 풀무원은 핫도그 수량을 5개에서 4개로 줄이는 등 슈링크플레이션 사례가 속속 등장했습니다.

 

 

최근엔 제품을 만들 때 사용되는 재료를 값싼 것으로 대체하는 스킴플레이션도 유행하고 있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델몬트 오렌지 주스 과즙 함량을 100%에서 80%로 낮췄고, BBQ는 100%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오일에서 올리브, 해바라기유 50% 블렌딩 오일로 튀김기름을 바꿨습니다.

 

 

낱개 상품보다 묶음 상품을 더 비싸게 파는 번들플레이션도 등장했습니다. 묶음 상품이 더 저렴할 것이라는 소비자 인식을 교묘하게 이용한 꼼수입니다. CJ제일제당이 네이버 브랜드스토어에서 파는 햇반과 비비고 육개장, 비비고 만두, 사골곰탕 등 주요 즉석식품에서 번들플레이션을 적용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꼼수 가격 인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미국 음료회사 게토레이는 음료 용량을 32온스에서 28온스로 줄였고, 제과기업 퀘이커는 그래놀라 초코바의 코팅 재료를 코코아버터에서 값싼 팜유로 대체했습니다. 마요네즈의 계란 노른자 함량이나 두루마리 휴지 규격이 바뀌기도 했습니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자 정부의 단속이 한발 늦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미 작년에 초코바, 요구르트, 과자 등 슈링크플레이션 사례가 속출했기 때문인데, 당시 정부는 별다른 대응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가 이제야 대응에 나선 것을 비판하는 것입니다.

 

 

해외에선 이미 슈링크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줄일 대책을 내놓은 것도 국내와 비교됩니다. 소비자에게 더 세세한 정보를 제공할 의무를 부여한 것입니다. 프랑스는 이미 제품 용량을 변경할 때 소비자에게 반드시 고지해야 하는 법안을 추진 중입니다.

 

 

옛말에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고 하지요. 뭐든 타이밍이 중요한 법입니다. 작년에 이미 슈링크플레이션 조짐이 보였는데, 그때 시기적절한 대처 방안을 내놓았다면 지금과 같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꼼수 피해는 크게 줄었을 것인데 말입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져야만 움직이는 우리 정부의 자세가 정말 안타깝습니다.

 

 

728x90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