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8 암흑기를 걷고 있는 네이버, 카카오 24년 2분기 실적발표 복기 # 네이버와 카카오, 양사는 2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두 회사 모두 AI 중심의 중장기 성장 전략도 발표했다.# 착실하게 내실을 다지는 네이버와 달리, 카카오는 또 다시 악재가 여럿 찾아왔다. 그동안 저금리 기조와 비대면 일상의 수혜를 톡톡히 봤던, 네이버와 카카오.양사는 팬데믹이 끝나고 찾아온 고금리 시대와 글로벌 AI 열풍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등 혹독한 시련을 겪고 있는 중이다. 양사의 주가는 고점 대비 거의 반토막 난 상황. 우리나라 IT 산업을 대표한 두 회사의 미래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지 궁금하다. 네이버의 최수연 대표는 그래도 내실을 착실하게 다져가는 듯 보이나, 카카오는 아직까지 답이 없어 보인다.카카오의 창업자이자 경영쇄신위원장인 김범수 씨는 구속이 되었고, 카카오의 신..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8. 27. 암흑기를 걷고 있는 네이버, 카카오. 도대체 이유가 뭐야? * 광고 시장이 살아나면서 네이버와 카카오의 실적도 반등할 전망이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이들의 목표 주가를 줄줄이 내렸다.*** AI 사업 등 보다 확실한 미래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지속적인 주가 하락으로 개미투자자들의 원망을 사고 있는 네이버와 카카오.이들의 2분기 실적이 반등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실적과는 다르게 여전히 주가 전망은 그리 좋지 않다. 네카오의 올해 2분기 매출 실적은 나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네이버의 올해 2분기 매출 컨센서스(증권사 예상치 평균)는 2조 6,501억 원이다. 예상이 적중한다면 네이버는 역대 2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게 된다. 광고주의 데이터까지 결합해 타겟팅 효율을 높인 광고 부문이 네이버의 실적 향상을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7. 17. 창사 이래 최대 위기 카카오. 카카오는 어쩌다 이지경이 되었을까? *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SM 주가 시세 조종 의혹 때문이다.*** 실적 부진에 대한 우려까지 겹치며 카카오의 전망은 더욱 불안해지고 있다. 카카오는 어쩌다 이렇게 침체가 된 것일까?최근 카카오 창업자이자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검찰 소환 조사를 받았다. 그런가 하면 카카오의 최근 매출 성적도 좋지 않아 시장에서는 카카오의 성장 동력이 꺼진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보내고 있다. 지난 9일 오전 8시부터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이 20시간 넘는 밤샘 검찰 조사를 받았다. 김 위원장은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SM) 주가 시세조종 의혹에 관여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카카오는 SM 경영권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2,400억 원을 투입해 주가를 띄웠다..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7. 15. 2024년 네이버-카카오 주가, 반등할 수 있을까? 코로나 사태 이후,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환경의 지속으로 국내 인터넷 기업을 대표하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는 오랜 기간 지지부진한 상황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금리를 인하하려는 분위기에 올해는 네카오의 반등이 가능할지 여부에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도그럴것이 이번에 발표된 양사의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를 보면 올해는 네카오의 주가 반등이 가능할 것 같다는 기대감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우선, 카카오는 작년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네이버는 매출과 영업이익 둘 다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양사는 모두 AI 기반의 사업 경쟁력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그야말로 호실적입니다.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의 대장격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나란히 호실적을 발표했습니다.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2. 16. 정부 플랫폼 경쟁촉진법(플랫폼법) 제정 추진. 네카오 독주를 막을 수 있을까? 정부가 온라인 플랫폼의 독과점을 견제할 법을 제정합니다. 이 법이 제정되면 국내 온라인 플랫폼을 대표하는 네이버와 카카오, 구글 등 대형 플랫폼이 감시의 대상이 됩니다. 당연히 플랫폼 업계는 과잉 규제라며 반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소식을 자세하게 다뤄봅니다. 정부가 입법을 추진하는 일명 ‘플랫폼 경쟁촉진법’은 시장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 플랫폼 기업을 감시하는 법입니다. 입법 취지는 플랫폼 기업이 독점적 지위를 남발해 시장 내 경쟁을 방해하는 걸 막기 위함입니다. 지난 19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플랫폼 독과점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플랫폼법을 제정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작년 10월 카카오 먹통 사태 이후 거대 플랫폼을 규제할 필요성이 커지자 대응에 나선 것입니다. 독과점 기업의..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 13. 총체적 난국에 빠진 카카오, 과연 초심으로 돌아갈 수 있는걸까? 창업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카카오, 최근 카카오의 경영과 관련한 잡음이 쉬지 않고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카카오의 내홍들이 비정상을 정상으로 돌리기 위한 정말 뼈를 깎는 고통의 과정인지, 아니면 이것도 그저 세간의 관심을 받을때만 경영 쇄신을 하는 듯 하다가 흐지부지해질 것인지, 앞으로 카카오의 미래가 걱정되는데요. 이미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카카오 김정호 경영지원총괄이 최근 회의 자리에서 욕설을 해서 난리였습니다. 당일 회의에서 골프 회원권, 건설 프로젝트 의사결정 등 여러 문제에 김정호 경영지원총괄이 분노를 표출한 것인데, 이게 처음에는 상사의 갑질 문제로 비춰지는 듯 하다가 김정호 씨가 개인 SNS에 욕을 하게 된 일련의 사정을 올리게 되면서 여론은 김정호 씨에게 우호적으로 바뀌는 듯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12. 13. 국민 밉상주로 등극한 카카오, 위기를 극복할 방안은? 최근 카카오가 국민 밉상주로 등극했습니다. 한때는 국민주로 성장가능성을 높이 평가받던 카카오였는데, 어쩌다가 이렇게 나락으로 떨어진 것일까요? 카카오는 문어발식 경영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골목상권까지 침해했다는 비판과 최근에는 SM 인수과정에서 주가조작 논란까지 겪으며 창업주가 검찰에 소환까지 받는 최악의 상황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까지 잇달아 상장하면서 ‘쪼개기 상장’으로 주주가치를 훼손했다는 비판도 받았습니다. 이러한 결과 카카오의 주가는 바닥이 어디인지 모를 정도로 급락중입니다. 그러나 최근 창업자인 김범수 의장이 경영에 복귀하면서 대대적인 쇄신방안을 발표하는 등 개선의 의지를 보이자 주가가 조금씩 반등하는 모양새입니다. 오늘은 카카오의 경영 쇄신방안..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11. 15. 위기의 카카오, 실적 개선을 위해 계열사 구조조정한다 요즘 카카오 주주분들은 카카오 예기만 들어도 기분이 우울할 것 같습니다. 코로나19 수혜를 한 몸에 받던 인터넷 기술 기업들의 주가가 지난해부터 하락해서 지금까지 지지부진한 상황이기 때문이지요. 저는 최근 카카오의 주가가 매우 저평가된 구간이라는 판단이 들어 카카오의 주식을 매수해놓았는데요. 매수한 시점부터 지금까지 오히려 더 하락해서 현재는 10% 정도 마이너스가 난 상태입니다. 이상하게 제가 매수하면 주가는 항상 떨어지더라구요. ㅎㅎ 물론, 시간이 흐르면 주가는 보통 기업의 내재가치에 맞게 제자리를 찾아가긴 하지만... 그래도 매수한지 얼마 안되어 크게 하락하니까 기분이 좋을수만은 없네요. 그래서 결국 매수 타이밍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최대한 저가에 매수해야 그만큼 안전마진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7.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