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

빠르게 더 자주 실패하라 /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징

꿈달(caucasus) 2025. 1. 3.
728x90

Fail Fast Fail Often

 

성공하는 사람들은 빠르게 실패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한다.

왜냐하면 빠르게 실패하는 것이 최대한 빨리 ‘실패를 없애버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역설적인 이 말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성공하는 사람들은 빠르게 실패하는 것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테드 올랜드와 데이비드 베일즈의 저서 <예술가여, 무엇이 두려운가!>에 실린 어느 도자기 공예 선생님의 실험 이야기를 살펴보자. 강사는 반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채점 기준을 설명했다.

 

 

“채점 기준은 간단합니다. 도자기 50개를 만든 학생은 A를, 40개를 만든 학생은 B를 받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그룹의 학생들에게는 이렇게 말했다.

 

 

“한 학기 동안 만든 작품 중에 최고로 잘 만든 작품 한 점만으로 점수를 받게 될 것입니다.”

 

 

한 그룹은 ‘양’으로만, 또 다른 그룹은 작품의 ‘질’로만 평가한다는 것이었다.

드디어 한 학기가 끝났다. 실험을 주도한 강사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미적, 기술적, 섬세함 면에서 최고의 작품을 제출한 학생들이 모두 ‘양’ 중심에 속한 그룹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양’ 중심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더 많은 작품을 제출하려고 도자기를 수도 없이 빚었다. 그러는 동안 어느새 흙을 다루는데 점점 능숙해져 갔다. 한 점 한 점 빚어가며 실수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운 것이었다.

 

 

 

반대로, 작품의 ‘질’ 중심 그룹의 학생들은 이와 대조적이었다. 완벽하고 정교하게 빚은 도자기 한 점을 제출하기 위해 세밀한 계획을 세웠고 결국 대부분의 학생이 학기가 끝날 때까지 몇 점도 완성하지 못했다. 연습이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에 실력도 나아지지 않았다.

 

 

 

 

이 실험에는 중요한 원칙이 담겨 있다. 성공하는 이들의 절대 원칙, 바로, ‘재빨리 행동에 뛰어들기’를 설명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들은 실수나 실패를 피할 방법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쓰지 않는다.

 

 

 

오히려 능력과 지식의 한계를 드러낼 기회를 열심히 찾아다닌다. 이 행동은 그들을 무엇이든 재빨리 배우게 만든다. 그리고 미숙한 준비야말로 성장을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깨닫게 한다.

 

 

 

반대로 실패하는 사람의 공통점은 준비가 덜 된 것을 시작하지 않아야 할 신호로 여긴다. 그리고 계획을 새롭게 바꿔 볼 궁리를 한다.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준비와 계획에 쏟아붓는 것이다.

 

 

 

가만히 돌이켜 생각해보자. 최근에 자부심을 느낀 때는 언제인가?

그 성취를 이뤄가면서 어떤 기분이 들었는가? 능력 밖인데도 낑낑대며 일을 해야 했거나 중간 과정이 실수투성이는 아니었는지 생각해 보라. 당신이 대부분의 사람들과 비슷하다면, 당신이 가장 많이 성장하고 큰 성취를 한 때는 실수와 실패가 가장 많고 큰 장애물을 극복했을 때일 것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