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애플의 연례 개발자 행사 WWDC 2025가 개막했다. 새로운 AI 기능이 경쟁사 수준에 머무르며, 혁신 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매출 둔화와 관세 리스크까지 더해지며 애플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
지난 9일(현지 시각) 애플이 연례 개발자 행사인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5)를 열었다. 12년 만에 운영체제(OS)의 대대적인 개편을 발표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사용자인터페이스(UI) '리퀴드 글래스'(Liquid Glass)는 유리의 질감을 반영해 알림창, 아이콘, 검색창을 반투명하게 만들었다. 애플이 OS 디자인을 전면적으로 바꾼 것은 지난 2013년 iOS7 업데이트 이후 처음이다.
리퀴드 글래스는 iOS뿐 아니라 아이패드, 애플워치, 애플TV,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 등 애플의 모든 기기에 적용된다. 일각에서는 이번 디자인 개편이 내년 웨어러블 기기 출시를 앞둔 포석으로 분석한다. 지난달 구글이 연례 개발자대회 'I/O 2025'에서 공개한 스마트안경에 맞서기 위한 전략으로, 새로운 확장현실(XR) 기기에 반투명 디자인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이다.
또한 애플은 그동안 iOS18, 아이패드OS18, 워치OS11, 비전OS2 등 기기마다 다르게 불리던 OS 이름을 출시연도에 맞춰 통일하기로 했다. 2026년 출시되는 iOS라면 'iOS26'처럼 이름붙이는 식이다. 세부적인 UI도 개선했다. 리퀴드 글래스가 적용된 위젯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화면에 배치할 수 있게 했고, 각 기기의 화면을 베젤(내부 화면 테두리) 끝까지 확장해 남은 공간을 없앴다.
다만, 이번 WWDC 이후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팀 쿡 CEO는 "엄청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AI 혁신의 부재에 대한 실망이 컸다. 이날 애플이 공개한 새 AI 기능은 통화나 메시지에서의 실시간 번역 기능, 캡처한 화면 속 제품을 AI로 검색하는 기능 등으로, 삼성전자와 구글 등 경쟁업체가 이미 선보였던 수준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애플이 한때 기술 혁신의 아이콘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번 발표가 오히려 굴욕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 현지 언론의 평가도 냉혹하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행사를 두고 "애플이 사실상 AI 갭이어(안식년)를 보내는 것"이라고 평가했고, 월스트리트저널도 "애플이 AI 부활을 포기했다"라고 혹평했다. 음성인식 비서 '시리'(Siri)에 대한 AI 업그레이드도 내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출시가 연기되는 등 악재가 가득했다.
그나마 업계의 주목을 받은 AI 기능은 '파운데이션 모델 프레임워크'이다. 개발자가 애플의 AI 모델을 클라우드 컴퓨팅 비용 없이 자신의 앱에 접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전 세계 개발자에게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개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편, 최근 아이폰 매출이 급격히 둔화한 가운데, 이번 행사가 매출 반등을 이끌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23일,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최소 25%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한 것도 리스크로 꼽힌다. 아이폰 등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하면서, 중장기적으로 매출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점쳐진다.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뷰티의 위상 변화! 수출 2위 달성으로 '글로벌 뷰티 강국' 도약 (6) | 2025.07.02 |
---|---|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종료 선언… 글로벌 무역 전쟁 재점화되나 (3) | 2025.07.01 |
치솟는 서울 집값 잡는다! 정부, 초강력 대출 규제 돌입, 이재명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 요약 (3) | 2025.06.30 |
파월, 금리 인하 '신중론' 고수…연준 내 7월 인하론 '고개' (1) | 2025.06.26 |
AI 시대, 전력난 해법은 '원전'? 빅테크, 잇따라 원전 에너지 확보 (2) | 2025.06.18 |
역경을 딛고 세계를 사로잡은 다이슨의 성공 방정식 (4) | 2025.06.16 |
5,126번 실패는 다이슨 성공의 시작: 다이슨 성공의 비밀 (5) | 2025.06.13 |
희토류-반도체 맞교환, 미∙중 관계 개선 기대 (5) | 2025.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