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현지 시각) 구글이 미국에서 ‘SMR(소형모듈원전)’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 ‘카이로스’와 전력 공급과 관련된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이 중요한 이유는 ‘SMR’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세계 최초의 계약이기 때문이다.
SMR(소형모듈원자력발전)은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다. 카이로스는 2030년부터 SMR을 가동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위해 지난 7월 미국 테네시에 자사의 기술을 확인해볼 수 있는 시험용 원자로 건설에 착공했다.
구글은 “청정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우리는 카이로스가 개발할 다수의 SMR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구매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계약을 체결한다”라며 “2030년 첫 번째 SMR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가동하고 2035년부터 추가 원자로를 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500MW(메가와트)의 전력을 끌어오겠다는 계획이다. 500MW는 약 12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구글의 계약 소식이 전해진 다음 날에는 아마존이 ‘혁신적인 원자력 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도미니언 에너지라는 원전 운영 기업과 함께 SMR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기반으로 300MW의 에너지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도미니언 에너지는 이미 ‘도미니언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 인근에 소형 원전 개발을 함께 추진키로 했다.
이와 함께 워싱턴주의 전력 공급 기업, 노스웨스트와도 계약을 맺었다. 이 과정에서 노스웨스트가 추진 중인 4개의 소형원전 건설 사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X-에너지라 불리는 기업에도 투자한다. 이 기업은 차세대 원자로, 원자력발전소에서 쓰이는 연료를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아마존은 3개 기업과의 협력을 추진하면서 5억달러, 우리돈 6800억원 이상을 투자할 것이다.
이 외에도 AI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는 오픈AI의 샘 올트먼은 SMR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 ‘오클로’에 투자했고 이사회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오클로는 16일 “연료제조 시설의 개념 설계 승인을 획득했다”라고 밝혔다. ‘오로라’라고 불리는 SMR을 개발하고 건설하려면 정부의 허가가 필요한데, 연료 제조 시설 설계가 승인을 받았다는 내용이다. 오클로는 2027년부터 SMR을 가동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듯 빅테크 기업들이 전기가 필요한 이유는 바로 데이터센터 때문이다. AI 가동을 위해서는 GPU와 같은 수많은 칩이 필요한데, 이를 한 공간에 두고 일을 시켜야 한다. 이때 엄청난 ‘열’이 발생합니다. 열을 식혀주지 않으면 AI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 냉각에 얼마나 많은 전기가 필요할까?
구글과 메타의 유럽 본사는 아일랜드에 있다. 아일랜드에는 빅테크 기업들의 데이터센터가 있는데, 아일랜드의 2022년 전기 사용량의 5분의 1이 데이터센터 가동에 사용됐다. 아일랜드의 데이터센터가 쓰는 전기량은 2015년 이후 400%가 증가했다.
미국에서만 AI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2030년까지 323TWh의 추가 수요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 뉴욕에서 연간 소비하는 전기가 48TWh인데 이것의 7배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골드만삭스는 데이터센터가 2030년 말까지 미국 전체 전기 소비량의 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국제에너지기구는 글로벌 데이터센터 전기 소비량이 2026년에 1000테라와트시(TWh)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이 1년 동안 생산하는 전력량이라고 한다. 늘어나는 데이터센터를 가동하려면 지구 전체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약 8~10%를 사용해야 한다는 연구도 나왔다.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F, 10월 세계 경제 전망 발표, 우리나라의 성적은? (6) | 2024.11.01 |
---|---|
핀테크 데카콘 기업 노리는 토스, 나스닥 상장 가능할까? (3) | 2024.10.31 |
폭주하는 금값 역대 최고가 경신, 금 가치 상승 한동안 이어진다 (2) | 2024.10.29 |
ARM 공세를 막기 위한 인텔과 AMD의 드마마틱한 동맹 (1) | 2024.10.25 |
미국 연준 금리 빨리 안내린다. 연준이 금리 인하 속도 조절하는 이유 (4) | 2024.10.23 |
미슐랭(미쉐린) 가이드의 기원, 미슐랭 별점의 의미 (7) | 2024.10.18 |
꿈의 비만치료제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가격과 용법, 드디어 한국 출시~! (4) | 2024.10.17 |
박스피에 지쳤다! 국내증시 떠나 해외주식 투자 천만명 시대 열린다. (13) | 2024.10.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