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잊을만 하면 나오는 금값 폭등 소식~!
결국 국제 금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18일 국제 현물 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28.349g) 당 2,700달러(약 370만 3,000원)를 돌파했다. 금 현물 가격은 올해 약 31% 상승해, 주요 원자재 중 은(약 34%)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이는 오일 쇼크 당시인 1979년 이후 상승 폭이 가장 큰 것이다.

그동안 금 가격 상승과 관련해 포스팅한 기록이 몇 번 있었는데, 그 시기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1년, 그리고 미중 무역전쟁이 노골화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한창 전쟁을 본격화하던 2022년 말경이다. 역시나 금값 상승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빛을 발하는 것 같다. 요즘 비트코인 가격도 폭등하고 있는데, 앞으로 얼마나 또 오르려는 것일까?
2021.03.24 - 코로나 사태 이후 금융자산 투자 포트폴리오(주식과 금 투자가 답이다)
코로나 사태 이후 금융자산 투자 포트폴리오(주식과 금 투자가 답이다)
코로나 사태 이후 금융자산 투자 포트폴리오(주식과 금 투자가 답이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로나 사태 이후 금융자산을 어떻게 투자할까? 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순전히 개인적...
dreamingsnail.tistory.com
2023.01.10 - 여전히 안전자산의 대명사인 금, 금값 최고치 경신
여전히 안전자산의 대명사인 금, 금값 최고치 경신
불과 몇 달 전만해도 달러가 강세를 보여 킹달러라는 말이 돌 정도였습니다. 그때만해도 금은 사람들의 투자 대상에는 보이지도 않았구요. 당시 주위에서는 이제 금은 투자의 대상이 아니라고...
dreamingsnail.tistory.com
국제 금 가격이 최고치를 경신하자 국내 금 가격도 급등했다. 24K 순금 1돈(3.75g) 가격(살 때 기준)이 51만 원을 돌파했다. 이는 2005년 1월 한국금거래소 개장 이래 역대 최고 수준이다.
금은 명실상부한 안전자산이다. 앞서 말했듯이 국제 정세가 불안한 상황에서는 수요가 몰리기 마련이다. 채굴량이 한정적인 데다가 전 세계 어디서나 통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금리 인하로 화폐 가치가 떨어질 때도 금의 투자 가치는 높아진다. 하지만 워런 버핏이 말했듯이 금은 이자나 배당이 없어 추가 수익을 바랄수가 없다. 그래서 버핏은 금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하지만 금 가격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최근 금 가격이 상승한 원인 중 하나는 중동 정세 때문이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최고지도자인 야히야 신와르를 사살하며 중동 정세는 더욱 혼돈에 빠졌다. 전쟁이 쉽사리 멈추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 금 매수세가 더욱 커졌다. 디지털 금이라는 비트코인은 왜 금 가격의 상승세만큼 힘을 쓰지 못하는 것일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하 사이클에 돌입한 것도 금값 상승의 원인 중 하나다. 보통 금리가 낮아지면 달러의 가치가 내려가는데, 이에 다른 안전자산인 금 값은 상승하는 것이다. 금리 인하로 얻을 수 있는 이자 수익이 줄어들면서 원래 금리가 없는 금의 매력은 오히려 높아지기도 한다.
전 세계 중앙은행이 잇달아 금을 사들이는 것도 금값 상승세에 불을 지폈다. 올해 1분기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은 글로벌 금 수요의 약 23%에 달하는 290톤으로, 2000년 이후 1분기 중 최고치였다. 글로벌 불안정성 확대와 달러 가치 하락 전망에 중앙은행도 안전자산인 금을 비축해두려는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금 가격 전망은 어떠할까? 런던금시장연합회는 금 가격이 향후 1년간 약 10.5% 상승해 온스당 2,941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씨티그룹과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글로벌 투자은행도 금 가격이 내년 온스당 3,000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역사적으로 볼 때 연준이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금리를 인하할 때 금값은 가장 큰 상승세를 보여왔기에, 지금의 상승 기조도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에 힘이 실린다.
반면,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금을 매입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은 2014년을 마지막으로 금 매입을 중단했다. 이창용 총재는 선진국의 경우 과거 금본위제를 운영했기에 금 보유량이 많은 것이고, 최근 금을 매입한 중국, 터키, 폴란드, 러시아 등은 미국과의 갈등 탓에 금을 매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현 상황에서 굳이 금을 매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노믹스2.0 경제분야 공약 분석(어젠다 47 요약) (5) | 2024.11.12 |
---|---|
다시 돌아온 트럼프, 미국의 앞날은 어떻게 바뀔까? (7) | 2024.11.08 |
IMF, 10월 세계 경제 전망 발표, 우리나라의 성적은? (6) | 2024.11.01 |
핀테크 데카콘 기업 노리는 토스, 나스닥 상장 가능할까? (3) | 2024.10.31 |
ARM 공세를 막기 위한 인텔과 AMD의 드마마틱한 동맹 (1) | 2024.10.25 |
SMR(소형모듈원전) 상용화에 앞장서는 빅테크 기업들 (6) | 2024.10.24 |
미국 연준 금리 빨리 안내린다. 연준이 금리 인하 속도 조절하는 이유 (4) | 2024.10.23 |
미슐랭(미쉐린) 가이드의 기원, 미슐랭 별점의 의미 (7) | 2024.10.18 |
댓글
꿈달(caucasus)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