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I15 오픈AI CEO 샘 올트만의 해임과 복귀 / 5일 천하로 끝난 이사회의 쿠데타 지난주 금요일(17일) 아주 깜짝놀랄만한 소식이 미국에서 전해졌었습니다. 바로 오픈AI의 공동창업자이자 챗GPT의 아버지로 불리는 샘 올트만이 CEO에서 해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그러면 샘 올트만은 그 이후 MS에서 함께 일할거라는 소식도 들렸고, 바로 어제였지요. 22일(현지시각) 샘 올트만은 다시금 오픈AI CEO로 전격 복귀하게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오픈AI 이사회의 반란은 불과 5일만에 막을 내린 셈이 되었는데요. 오픈AI의 이사회는 샘 올트만이 비영리목적으로 설립된 오픈AI를 상업적으로 물들였으며 그의 개인적인 비리 의혹이 있다는 이유를 들어 해임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샘 올트만이 해임되자마자 오픈AI의 700여명 직원들 중 약500명이 샘 올트만을 따라 회사를 떠나겠다고 선언하는 등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11. 23. 한층 더 강력해진 GPT-4 터보, 뭐가 달라졌을까? (GPT스토어 출시 발표) 올해 초 생성형 AI의 대중화를 선도했던 오픈AI가 최근 개발자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층 더 강화된 챗GPT-4 를 선보였습니다. 보통 테크 회사가 개발자 회의를 개최한다는 것은 해당 테크회사의 플랫폼 제품이 대중화되어있다는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오픈AI의 챗GPT 활성 사용자의 수가 그만큼 많다는 것이고, 자신들의 제품에 자신감이 뿜뿜이라는 것입니다. 개발자 회의에서 오픈AI는 향후 수익원이 될 GPT 스토어도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폰의 앱스토어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 생성형 AI >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 기존 콘텐츠를 활용해 유사한 콘텐츠를 새롭게 만들어 내는 인공지능(AI) 기술이다. 제너레이티브(generative) AI라고도 불린다. 콘텐츠들의 패턴을 학습..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11. 8. AI 반도체 급성장에 HBM 메모리 반도체도 급성장한다 올초부터 시작된 생성형 AI 열풍으로 AI 반도체 산업이 급성장중입니다. 미국의 엔비디아가 그 주인공이며, 이 외에도 AMD, 구글, 아마존 등이 AI 반도체 칩 개발을 선언하며 엔비디아를 추격중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AI 반도체 칩 개발에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의 수요가 늘어나며 이 시장 역시 급성장이 예상됩니다. # 생성형 AI > 인간의 행동, 사고 과정 및 독창성을 모방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창의적인 결과물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계가 음악, 그림, 콘텐츠 등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통한 훈련으로 패턴을 학습한다. 지난달 31일에는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HBM3를 공급하는 계약을 맺기도 했었지요. HBM3는 HBM의 4세대 모델인데, 이 덕에 얼마..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9. 21. AI 가 만든 K팝 아이돌 가수, 아이브(IVE) Kitsch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이제 AI가 그린 그림은 많이 대중화 된 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DALL.E 2나 스테이블디퓨전, 노블AI 등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장면을 입력하면, AI가 임의로 그림을 생성해서 보여줍니다. 사용자는 맘에 드는 그림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맘에 들지 않는 부분만 수정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요. 최근에 흥미로운 유튜브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바로 AI가 만든 K팝 아이돌 아이브의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입니다. 바로 아래 영상입니다. 원본영상과 AI가 만든 애니메이션 영상을 비교하면서 감상하시면 더 흥미롭습니다. 😎 위 영상은 아이브의 뮤직비디오를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애니메이션화 한 것입니다. 원리는 사실 간단해요. 뮤직비디오의 실사 장면을 한장한장 애니메이션 이미지로 바꾸는 AI 를 이용해 변환한 후 이를 연속..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5. 5. 25명의 AI 아바타를 가상 마을에 풀어놓으면 어떻게 될까? / 스탠포드 대학교&구글의 AI 실험(스몰빌) AI 아바타가 사는 마을(스몰빌) 최근 아주 흥미로운 AI 실험이 있었습니다.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교와 구글의 연구팀이 AI 생성 아바타가 대규모 언어 모델(챗GPT 3.5)을 사용하면 어떻게 인간의 행동과 비슷할 수 있는지를 시뮬레이션해본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25명의 인공지능 아바타들을 가상공간의 마을에 풀어놓으면 이들이 어떤 행동을 했을까를 살펴본 것이에요. 실험내용은 이렇습니다. 일정한 직업과 성별, 연령 등을 부여한 25명의 AI 가상 아바타를 시스템 상의 가상 도시에 자유롭게 풀어 놓습니다. 이랬을 때 25명의 AI 아바타들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일까를 지켜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들이 했던 행동은 실제 우리 사람들이 하는 행동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4. 21. 인공지능(AI)에 의한 인류의 멸망? 엘리저 유드코스키의 주장은 과연 근거가 있을까? AI개발을 6개월만 멈추자. 올해 최대의 테크 이슈인 인공지능, 얼마전에는 일론 머스크를 비롯해서 스티브 워즈니악(애플 창업자), 이스라엘 출신의 인류학자인 유발 노아 하라리 같은 저명인사들이 “AI 개발을 6개월만 멈추자”는 공개서한(Open Letter)에 서명을 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이분들은 인공지능이 인류의 미래에 큰 위협이 될수도 있다고 경고하는데요. “인류는 언젠가 인공지능으로 멸명하게 될 것이다” 라는 말을 들어보셨을꺼에요. 이미 영화나 소설에서는 인공지능으로 인류가 멸망의 위험에 처하는 상황을 많이들 보셨을꺼에요. 대표적으로는 영화 터미네이터처럼 말이지요. 영화속 인류의 미래는 인공지능 기계들에 의해서 인류가 멸망의 위기에 처해 있는 디스토피아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런 주장을 현재도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4. 17. 인공지능(AI) 시대에는 어떻게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할까? 일잘러(일 잘하는 사람)의 정의가 바뀐다. 올초부터 제가 올리는 포스팅의 상당수가 바로 인공지능(ai)과 관련한 글입니다. 그만큼 지금 우리 시대의 가장 큰 테크 이슈가 바로 인공지능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요즘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챗gpt가 대표적인데요. 챗gpt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롬프트, 즉 명령어를 잘 입력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는군요. 결국 질문을 잘 해야만 인공지능의 결과물이 더 좋아진다는 것입니다. 조만간 다가올 미래에는 일을 잘하는 일잘러의 정의가 바뀔것이라고 합니다. 그동안 조직이나 회사에서 일 잘하는 사람이라 함은 성실함, 근면함, 기획력, 보고서를 얼마나 잘 만드느냐 등이었다면, 앞으로는 인공지능을 얼마나 잘 다룰 수 있는가가 기본적인 일잘러의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점입.. 일상다반사 2023. 4. 12. 인공지능(AI)과 로봇은 어떻게 융합될 수 있을까? SF영화 속 로봇은 사람의 간섭이 없이도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고 그 판단에 따라 행동합니다. 이렇듯 영화속 로봇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까닭은 바로 인공지능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봇과 인공지능의 관계는 마치 바늘과 실 같은 관계라고나 할까요? 🙂 최근 로봇 분야에서는 인공지능과 융합해 궁극적으로 인간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인화’를 표방하며 기술 개발이 빠르게 이뤄지는 추세입니다. 영화속 로봇처럼 실제로 물리적으로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로봇이 출현하게 된다면, 제조부터 물류까지 산업 전 영역은 물론 군사(안보) 시장까지 판세를 바꿀 수 있는 ‘노동혁명’이 올 것이라고 합니다. 로봇 업계에서는 이를 ‘1차 로봇혁명’이라고 표현한다네요. 로봇 학자들은 로봇에 쓰이는 인공지능 기술을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4. 7. 챗GPT(인공지능)가 바꾸는 반도체 시장의 지각변동 챗GPT 열풍이 사그러지지 않네? 😮 챗GPT 가 올해초부터 지금까지 인기입니다. 열풍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는데요. 얼마전 오픈ai가 챗GPT 4.0을 선보이며 인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면 자연스레 AI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부터 국내 통신사까지 AI 반도체 개발에 뛰어들고 있으며, AI 반도체 부품을 납품하는 글로벌 기업들도 이러한 분위기를 반기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 정부는 국내 AI 반도체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 미래차, 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앞으로 ..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2023. 3. 21. AI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1등은 누구? 엔비디아 VS 구글 태초에 엔비디아가 있었으니... 엔비디아는 1993년 현재 CEO인 젠슨 황에 의해서 설립되었습니다. 본사는 실리콘밸리, 시작도 실리콘밸리였어요. 엔비디아는 게임에 사용되는 그래픽 칩(반도체)을 만드는 회사로 시작했습니다. 엔비디아의 첫 그래픽 카드가 사용된 게임이 ‘세가’의 버추어파이터 였다고 하네요. 처음 이 게임이 나왔을때가 생각나는군요. 지금 게임 그래픽에 비하면 정말 형편없지만, 당시 목각 인형같은 캐릭터들이 3D로 구현된 것이 그때는 신기하기만 했지요. 버추어파이터에 적용된 그래픽카드는 엔비디아의 첫 번째 제품인 NV1 이었습니다. 엔비디아는 1999년에 드디어 첫 번째 GPU(Graphic Processing Unit)인 엔비디아 지포스를 선보였습니다. GPU라는 이름은 인텔, AMD가 PC..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3. 15. 생성형 AI(인공지능)가 위협하는 직업들은 무엇이 있을까? 요즘 Hot한 생성형ai 요즘 챗GPT를 대표로 그림을 그려주는 달리2와 미드저니 등등... 생성형AI가 아주 뜨거운 이슈입니다. 생성형AI란 말 그대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항을 AI가 결과를 만들어주는 인공지능을 말하는데요. 이렇게 생성형AI가 급속하게 대중화되면서 일부 직업들이 벌써부터 존재의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관련글: 드디어 꽃 피우기 시작한 오픈AI, 인공지능의 대중화가 시작되다! 드디어 꽃 피우기 시작한 오픈AI, 인공지능의 대중화가 시작되다! DALL-E 2와 ChatGPT의 등장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오픈AI의 놀라운 발전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지요. MS의 투자를 받으면서 오픈AI는 차례차례 연구성과를 내놓기 dreamingsnail.tistory.c..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3. 7. MS의 인공지능(AI) 투자계획, 생성형AI 개발에 전폭적인 투자 MS 너는 다 계획이 있구나 최근 오픈AI가 공개한 생성형 인공지능이 큰 이슈몰이중입니다. 그런데 오픈AI가 처음 창립되고 얼마 안되 투자금 문제를 겪고 있을 때 MS가 일찍이 대대적인 투자를 해줬다는 사실은 이제 모두 아실 거에요. 그런점에서 MS는 이미 일찍부터 인공지능 분야에 어떻게 투자하면 되는지 미리 판을 다 짰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AI 산업이라는 큰 그림에서 각 주체들이 어떻게 역할 분담을 하는지를 MS는 이미 다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것이지요. AI 산업의 거대한 큰 그림은 다음 이미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초거대AI 즉, 파운데이션 모델의 부상 이전에 있던 모든 AI 회사들은 위 그래픽에서 제일 왼쪽 연한 푸른색 'End-to-End Apps' 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엔드유저..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3. 2. 8. 구글, 축구하는 AI 로봇 개발 착수(휴머노이드 로봇의 두뇌가 되겠다) 구글은 딥마인드라는 걸출한 AI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세돌과의 바둑 대결로도 유명하고요. 그런데, 최근에 구글이 딥마인드를 이용해서 축구를 할 줄 아는 AI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구글은 이 AI를 이용해 실물로 로봇을 만드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테슬라나 현대자동차에서는 실제로 디지털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구글은 실제 로봇을 만들지는 않지만 바로 실제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AI를 만들겠다는 계획 같아요. 지난 9월에 구글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저널에 축구를 하는 AI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위해 자체 개발한 NPMP(Neural Probabilistic Motor Primitives) 모델을 소개했습니다. 이 모델..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2022. 11. 18. 인공지능을 판별하는 튜링 테스트의 개념 최근 구글에서 개발중인 인공지능 챗봇 람다가 사람의 사고력을 갖게 되었다는 기사가 화제였습니다. 람다를 개발하는 내부 엔지니어가 언론에 폭로한 것인데요. 구글측에서는 관련 엔지니어의 주장이 과학적 증거가 종합적으로 뒷받침 되지 못했다고 반박하며 이슈를 일축했습니다. 그 엔지니어는 현재 정직되었구요. 👉 관련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302661?sid=104 [W] "죽는 게 두렵다"는 구글 AI…"스스로 사람이라 생각" 개발자 폭로 죽음을 두려워 하는 로봇, 영화 속에서나 나오는 이야기라고 생각할 분들 많을 텐데요. 실제로 구글이 만든 AI가 스스로를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감정을 느낀다는 폭로가 개발자 중 한 명의 입에 n.news.nav.. 일상다반사 2022. 6. 23. AI 가 그린 그림들, 과연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축복일까? 재앙일까? AI 가 그린 그림들, 과연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축복일까? 재앙일까? 몇해 전 우리나라의 간판 바둑기사 '이세돌 9단' 과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 가 바둑대결을 펼쳤다. 당시에 이 승부는 세계의 이목을 주목시키기에 충분했다. 세상은 단순히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보다는 인공지능이 그동안 얼마나 발전했는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로 삼고자 했다. 바로 인간 대 인공지능의 대결로 상징성을 부여한 것이다.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결과는 4:1로 알파고의 완승이었다. 이세돌 9단은 1승을 따내기는 했으나 알파고에게 승리를 거두기가 사실상 매우 어려웠다고 인정했다. 그 이후로 알파고는 세계의 정상급 바둑기사들과 승부를 펼쳐 모두 승리하는 결과를 거두었다. 이제 알파고는 더이상 바둑을 두지 않는다 한다..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0. 9. 18. 이전 1 다음 💲 추천 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