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98 JP모건 2025년 미국, 글로벌 경제 전망 JP모건은 보고서를 통해 2025년의 가장 중요한 경제 화두를 기준금리로 꼽았다.“기준금리는 도대체 얼마까지 낮아질까?”기준금리는 모든 경제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대출 금리가 하락해, 기업이나 가계의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고 소비와 투자는 늘어난다. 또 자산 가격은 상승할 수 있다./ 매일경제 미라클레터 참조. JP모건은 2026년 1분기까지 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최근 미국 기준금리는 4.50∼4.75% 수준이다. 한국은 3.25%다. JP모건은 통계가 있는 37개 글로벌 중앙은행 가운데, 27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JP모건은 미국의 기준금리가 2026년 1분기까지 3.5%로 낮아질 수 있다고 했다. 당분간 인하..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2. 9. 엉뚱하지만 재밌는 역대 이그노벨상 수상자들 이그노벨상은 1991년 제정된 상으로서 노벨상을 패러디 했다. 이그노벨상은 기발하고 재미있는 연구를 사람을 선정해 시상한다. 매년 가을,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기 1~2주 전에 이그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시상식도 개최한다. ‘이그(IG)’는 ‘있을법하지 않은’을 뜻하는‘Improbable Research’의 약자이다. 말 그대로 “이런 일(연구)이 있었다고?”라는 생각이 드는 연구에 상을 준다. 미국의 과학잡지 ‘Annals of Improbable Research’가 주최한다. 이 잡지의 이름을 직역하면 ‘기발한 연구 연감’ 정도가 될 것이다. 역대 이그노벨상 수상자들을 보면 정말 엉뚱하다. 1991년 1회 이그노벨 교육상 수상자는 미국의 전 부통령 ‘댄 퀘일’이었다. 수상 이유는 그의..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2. 6. IMF가 예상한 2025년 한국 경제, 결론은 좋지 않다. IMF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로 하향 조정했다. 금리 인하와 중장기적 개혁을 주문하기도 했다.지난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제통화기금(IMF) 한국 미션단이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각각 2.2%와 2%로 전망했다. 이는 10월 전망치보다 각각 0.3%P, 0.2%P 하향된 수치다. # IMF 연례협의IMF가 매년 개최하는 중요한 행사로, IMF 관계자가 회원국에 방문해 각국의 경제 상황, 글로벌 경제 전망, 금융 안정성, 개발 문제 등을 논의하는 자리. 협의 결과는 IMF의 보고서로 발행되며, 이는 각국의 경제 정책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이해를 돕는 자료로 활용된다. 라훌 아난드 미션단장은 “한국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고, 하방 리스크(안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2. 5. 한국산 HBM, 중국 수출 금지에 따른 영향은? 지난 2일 미국 상무부는 HBM의 대중 수출을 제한한다고 밝혔다. 당장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인데, 다만, 전 세계 HBM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중국 수출을 오는 31일부터 제한한다. 지난 2일(현지 시각) 미국 상무부는 메모리 대역폭 밀도가 평방밀리미터(㎟) 기준 초당 2GB 이상인 HBM은 중국에 수출하지 못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모든 HBM은 이 기준을 초과한다. 미국산 소프트웨어와 장비, 기술 등이 사용됐다면 외국 업체 제품이라도 수출통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결국, 전세계 주요 기업들의 HBM 제품의 중국 수출을 금지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해당된다. # 고대..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2. 4. 나를 갉아먹는 부러움과 시기를 극복하는 방법 적당한 부러움은 나를 자극하는 동기로 작용한다. 하지만 부러움이 지나치면 부작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질투는 ‘불안감’에서 비롯된다. ‘저 사람은 나보다 잘하는데 난 왜 이리 못하는 걸까’, ‘저 친구는 나보다 돈을 많이 버는데 나는 뭐 하고 있는 거지’, ‘이렇게 살아가다 나만 도태되는 게 아닐까.’ 부러움이 질투로 넘어가 나를 갉아먹지 않도록 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질투라는 게 우리 ‘뇌’에서 작용하는 만큼 뇌를 잘 활용하면 된다. ‘화가 났을 때는 잠시 거리를 둬라’라는 것과 비슷하면서 조금 결이 다르다. 질투, 부러움은 거리를 두면 더 커질수 있기 때문이다. 즉, 가만히 있으면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자신을 더 나락으로 빠트릴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부.. 꿈달의 자산관리 공부(재테크) 2024. 12. 3. 결국 어도어 떠나는 뉴진스, 비밀 계약 드러난 방시혁, 하이브 리스크는 언제까지 계속될까? 뉴진스가 소속사 어도어에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뉴진스 문제도 시끄러운데,여기에 방시혁 의장과 사모펀드 간 계약도 뒤늦게 알려지며 논란이 커졌다. 도대체, 하이브의 리스크는 언제까지 계속되는 걸까? 지난 28일 뉴진스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소속사 어도어와의 전속계약을 29일 자정부터 해지한다고 밝혔다. 하이브와 어도어의 전속계약 위반을 이유로 들었다. 뉴진스는 하이브 산하 레이블 걸그룹 아일릿이 뉴진스의 컨셉을 모방하고, 해당 레이블 매니저로부터 “무시해”라는 발언을 들었다며 시정 조치를 요구했지만, 어도어의 개선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소송 없이 전속계약 해지를 통보한 것은 연예계에서는 이례적이다. 이전까지는 연예인이 소속사와 다툼이 있을 때 소송 개시 후 전속계약 효력정..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2. 2. 연준 11월 금리 인하 복기, 향후 금리의 방향은? 11월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P 내렸다.인플레이션과 고용이 모두 둔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가 사임을 요청하더라도 사퇴할 의사가 없다고 못 박았다. 지난 7일(현지 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4.50~4.75%로 0.25%P 인하했다. 지난 9월 빅컷(기준금리 0.5%P 인하)을 단행한 이후 또다시 금리 인하를 결정한 것이다. 이번 결정은 지난 빅컷에 반대표를 던졌던 미셸 보우먼 이사도 찬성표를 던지면서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 근거는 9월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2%를 향해 낮아지고 있고, 고용 시장이 차츰 둔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지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시장이..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28. 미국 과학기술계와 AI 업계는 트럼프 재선을 어떻게 평가할까?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면서, 미국 과학기술계와 AI 업계는 각각 우려와 기대를 내비치고 있다.트럼프는 그동안 과학에 대해서는 무시하는 발언을 많이 했었다. 실제로 과학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하려 했다. 때문에, 과학계는 트럼프의 재선에 대해 우려를 내비쳤다. 반면, AI업계는 기대를 하는 모양새다. 왜냐하면 트럼프는 AI 산업에 대해서 친기업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AI 개발에 있어서는 정부의 규제는 낮추고, 기업의 자율성과 책임을 강조하겠다는 입장이다. / 매일경제 미라클 레터 요약 트럼프는 선거 유세 기간 AI 개발과 기업에 있어서 ‘자유’를 외쳤다. 바이든 행정부가 AI에 대한 많은 규제를 내놓았던 만큼 자신은 이와 반대의 행보를 강조한 것이 아닐까? 무엇보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1..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27. 미국 법무부의 구글 크롬 매각 요청! 실현 가능성 있나? 미국 법무부가 구글의 크롬 강제매각을 요청했다. 구글의 온라인 검색시장 독점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법무부의 요청은 금방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구글이 항소할 것이기 때문이다. 법무부의 요청을 법원이 받아들이지 않을수도 있다. 미 법무부가 크롬 강제매각을 포함한 구글의 검색시장 독점 해소 시정안을 제출했다. 지난 8월 법무부와 구글 간의 검색 반독점 소송에서 법무부가 승소함에 따라 발표한 초강수다. 이에 지난 21일 구글의 지주사인 알파벳 주가는 전일 대비 4.56% 하락해 169.24 달러를 기록했다. 독점 해소 시정안에는 크롬 강제매각과 함께 다양한 방안이 담겼다. 브라우저 소유 금지, 크롬 매각 후 브라우저 시장 재진입 금지,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사와의 검..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2024. 11. 26.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세금 부과, 한번에 정리~! 최근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자,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이 급등하고 있다.이에 다시금 가상자산 과세 논란이 커졌다. 정부는 과세 유예를 추진하는 한편, 야당은 과세 한도를 높여 그대로 시행하겠단 입장이다. 이에 가상자산 투자자는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2020년 7월 도입 당시부터 말이 많던 가상자산 과세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미 두 차례 유예돼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시기를 늦추거나 법안을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현행 소득세법 그대로 시행된다면, 가상자산에 투자해 얻은 소득 중 250만 원을 뺀 금액에 22%의 세율(지방세 포함)이 적용된다. 가상자산으로 1,000만 원을 벌었다면 750만 원의 22%인 165만 원을 내야 한다. 결국, 가..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25. 엔비디아의 적수는 누구일까? 정답은? 바로 고객들~! 엔비디아의 최대 적수는 누구일까?우선, 떠오르는 기업은 바로 AMD와 인텔 같은 AI반도체(AI가속기)를 만드는 기업들이다. 이들은 엔비디아처럼 경쟁 제품을 만드니까 말이다. 그런데 엔비디아에게 가장 큰 고객인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도 엔비디아와 경쟁하는 자체 AI반도체를 만들고 있다. 특히 구글이 만드는 TPU는 엔비디아의 GPU 플랫폼과 완전히 다른 플랫폼이다. 그러니까 엔비디아는 지금 많은 적들을 상대로 경쟁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애플이 공개한 애플 인텔리전스는 구글의 TPU를 클라우드에서 사용해 학습했다. 엔비디아 GPU의 잠재적인 고객이 될 수 있는 애플을 구글에게 빼앗긴 셈이다. 애플은 최근 데이터센터를 확장하면서 엔비디아의 GPU를 쓰지않고, 자신들이 만든 PC를 AI추론용..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22. TSMC 가 추진중인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OIP), TSMC도 이제 플랫폼 기업이다. 플랫폼은 지금까지는 소비자나 판매자처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모여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장이나 생태계를 가리켰다. 하지만 이제는 그 의미가 폭넓어지는 모양새다. 엔비디아도 플랫폼, TMC도 플랫폼 기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SK 가 주최한 ‘AI 서밋 2024’ 행사에서 웨이저자 TSMC 회장의 대담을 요약했다. Q. 인공지능이 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고 보시나요? A. 인공지능은 지금 컴퓨터, 모바일, 자동차, IoT 등 여러 산업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통신, 교통, 교육,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우리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고 있죠. 특히 인공지능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산 능력과 에너지 효율적인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이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21. AI 가 발전하려면, 더 많은 메모리 필요하다.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SK 가 주최한 ‘AI 서밋 2024’ 행사에서, 사전 녹화 대담을 통해 이렇게 의견을 밝혔다. “AI 가 발전하려면, 미래에는 더 큰 메모리 칩이 필요하다” 최근까지만 해도 AI 는 텍스트 생성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방대한 문서를 분석하는 일이 많아지다보니 AI가 무엇인가 기억해 분석해야 할 일이 많아져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High Bandwidth Memory)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젠슨 황 CEO는 대담에서도 SK하이닉스를 향해 “좀 더 차세대 모델을 빨리 만들라”고 재촉하는 모습도 보였다. Q. 새로운 메모리 기술에 대한 연구가 있나요? A. 네, 새로운 메모리 기술 개발은 매우 활발합니다. 특히 SK하이닉스와의 파트너십에서 상당한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20. 소형 모듈 원자로 선도기업 테라파워, AI 전력 공급 우리가 해결하겠다! 크리스 레베스크 CEO 연설 요약 2.5배 급증할 전기수요 소형 원자로가 해결한다- 테라파워 크리스 레베스크 CEO AI는 막대한 전력을 소모한다.네덜란드 중앙은행의 데이터 과학자 알렉스 드 브리스는 2023년 10월에 발표한 연구에서, 2027년까지 전 세계 AI 관련 전력 소비량이 연간 85~134테라와트시(TWh)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네덜란드, 아르헨티나, 스웨덴 등의 연간 전력 소비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기업인 테라파워의 크리스 레베스크 CEO 는 AI 구동에 소모되는 막대한 전력을 소형 모듈형 원자로를 이용해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라파워의 나트륨(Natrium)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는 물리적인 크기와 부지 면적 측면에서도 기존 대형 원자력 발전소보다 훨씬 작게 ..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19. AI 투자, 피크아웃은 아직 오지 않았다? 지난 8월, 엔비디아가 다소 실망스러운 2분기 실적발표를 했을 때, 시장은 AI 투자가 이제 피크아웃에 도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던졌다. 하지만 최근 빅테크 기업들의 AI 투자 동향을 살펴보면 결국 의문은 기우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빅테크의 AI 관련 투자가 계속 늘어나는 모양새다. 올해 3분기 마이크로소프트(MS)의 자본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149억 달러(약 20조 5,600억 원)에 달했다. AI 인프라 투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메타 역시 올해 자본 지출 전망치를 370억~400억 달러에서 380억~400억 달러로 높여 잡았다. 최근 시티그룹은 미국 주요 빅테크 4곳(MS, 메타, 아마존, 알파벳)의 2024년 AI 설비 투자액이 288조 원에 이를 것이란..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18. AI 다음으로 세상을 변화시킬 기술은 바로 양자컴퓨터 과학자, 공학자들에게 AI 다음으로 세상을 변화시킬 기술은 뭘까요? 라고 묻는다면,상당수의 전문가들은 바로 양자컴퓨터를 손에 꼽는다. AI 기술 다음 단계로 양자컴퓨터가 구현된다는 얘기다./ 매일경제 '미라클레터' 참조 양자역학이 정립되기 이전에 우리는 전자기기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없었다. 양자역학이 정립되면서 반도체는 물론 다양한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발생한다. 이 데이터가 쌓이고,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비로소 AI 시대에 들어서게 되었다. 다만 AI 시대는 한계가 있다. 바로 ‘컴퓨팅 파워’다. 더 좋은 AI를 만들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빨리, 그리고 더 정교하게 분석해야만 한다. 빅테크 기업이 천문학..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16. 미국 증시를 뒤흔든 회계 조작 이슈, 슈마컴 스캔들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슈퍼마이크로컴퓨터(슈마컴)의 2024 회계연도 감사를 맡은 회계법인 언스트앤영(EY)이 슈마컴의 외부 감사 역할을 사임했다. 회계 감사를 수행하는 기관이 직무를 포기하고 슈마컴과 결별하는 것이다. 이전부터 제기된 슈마컴의 회계 조작 의혹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지정된 회계 감사기관이 이런 결정을 했다는 것은 보통 기업의 실적과 경영 상태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슈마컴은 인공지능(AI) 서버 제조 업체로, ‘서버 시장의 엔비디아’라고 불린다. 서버는 기업의 웹사이트나 데이터 저장 등에 필요한 컴퓨터로, 슈마컴은 엔비디아의 AI 칩을 탑재한 서버를 공급하며 급성장했다. 슈마컴은 엔비디아와 AMD, 인텔 같은 주요 AI 기업의 고객이다. AI 열풍에 힘입어 지난 3월 .. 꿈달의 미국 주식 장기 투자 2024. 11. 15. TSMC 모리스 창, 반도체 자유무역은 죽었다. TSMC 엄중한 도전에 직면하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창업자인 모리스 창은 최근 의미심장한 발언을 하였다. 요지는 세계적으로 반도체 자유무역이 퇴조하면서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장중머우(모리스 창) 창업자는 이날 대만 신주현에서 열린 TSMC 연례 체육대회에 참석해 “반도체, 특히 최신 반도체 부문의 자유무역은 죽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어떻게 계속 성장할지가 우리의 도전”이라고 말했다. 대만중앙통신(CNA)도 ‘모리스 창’이 “세계화는 이미 죽었으며, 세계무역이 죽은 환경에서 계속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TSMC의 도전”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모..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14. 역대 신고가 기록중인 비트코인, 어디까지 오를까? 비트코인이 처음으로 8만 달러를 넘어섰다. 🚀비트코인은 지난 12일 8만 9,000달러를 돌파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되기 전 7만 달러 선에서 거래됐던 것과 비교하면 일주일 만에 25%가량 오른 것이다. 트럼프의 당선이 확정되면서 가상자산 관련 규제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비트코인 상승세에 관련 주식도 함께 상승했다.지난 12일 우리기술투자는 전 거래일 대비 7.31%, 한화투자증권 우선주는 15.31% 상승했다. 두 곳 모두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지분을 갖고 있다. 한화투자증권(+0.96%)과 티사이언티픽(+1.85%)은 전 거래일 급등 후 소폭 상승했다. 이 외에도 미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코인베이스의 주가는 5일만에 약 222달..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13. 트럼프노믹스2.0 경제분야 공약 분석(어젠다 47 요약) 트럼프 공약집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캠프에서 발간한 ‘어젠다 47’이고, 또 다른 하나는 보수 싱크탱크인 헤리티지가 발표한 ‘프로젝트 2025’다. 헤리티지 재단은 지금껏 아홉 번에 걸쳐 보수 후보 공약집을 발표했다. 분량이 920페이지에 달한다. 트럼프는 이에 대해 “프로젝트 2025가 나랑은 상관없어!”라고 말했다. 하지만 헤리티지에 따르면, 트럼프는 45대 재임시절 싱크탱크 프로젝트의 약 3분의 2를 이행했다고 한다. *매경 미라클레터 참조, 요약Agenda 47 은 미국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47’이라는 숫자는 47개의 공약을 뜻하는 게 아니라, 미국의 제 47대 대통령을 의미한다. 트럼프 공약은 ‘어젠다 47’그래서 정치 분석가들은 이렇게 생각한다.“트럼프는.. 돈이 되는 경제 이야기 2024. 11. 12. 이전 1 2 3 4 5 6 7 8 ··· 65 다음